신축 건물 시공사와 시행사 차이점

안녕하세요.
부동산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는 다모아분양입니다.
아파트나 호텔 등 신축분양관련
모델하우스를 돌아다니다보면
시행사와 시공사가 다른 브랜인 경우를 보고
헷갈리는 분들도 계셨을겁니다.
비슷한 용어이지만 다른개념인
시행사와 시공사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시공사란?
시공사는 시행사로부터 발주를 받고
건물을 직접 지어주는 공사를 주체하는 회사를
뜻합니다.

시공을 하는 주체라고 할 수 있으며,
계획된 내용에 맞게 건물을 짓고
시행사로부터 약속된 비용을 받게 됩니다.
우리가 흔히 할고있는 현대건설 gs자이 등
건설업체들이 시공사에 속합니다.
시행사란?
시행사는 건물을 직접 짓는 주체가 아닌
부동산의 시공부터 준공까지 이루어지는 부분을
관리감독하는 회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전 과정에 대해 관리, 감독을 맡고 있으며
토지 매입 후 필요한 행정절차 진행 및
분양계약자 모집과 입주까지
일련의 과정들에 대해 책임을 맡고 있습니다.
시공사와 시행사, 차이점은?
앞서 말씀드렷듯이
시공사는 건물을 짓는 공사를 담당하는 건설회사이고
시행사는 허가 및 공사 , 입주까지 전 과정을
관리감독하는 주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든 분양과정에 시공사와 시행사가
나뉘어져있는것은 아니며
자금력이나 기술력에 따라
자체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하고,
각간 나뉘어지기도 합니다.

시공사와 시행사가 나뉘어지는 경우에는
분양대행사 또는 신탁사가 함께하게 됩니다.
분양대행사는 건출물의 판매와 홍보를
위임받아 진행을 해주는 회사이며,
신탁사는 소유권을 위탁받아
건축자금관리 및 보증을 해주는 회사로
자금운용에 이상이 없게끔 도와주는 주체입니다.
오늘은 분양과정에서 자주 등장하는
시공사,시행사,분양대행,신탁회사에 대한
용어까지 알아보았습니다.
부동산은 자본이 많이 들어가는만큼
투자하려는 곳이 튼튼한 시공,시행사가
진행하고 있는 건물인지
자세히 확인해보시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부동산 분양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아래 사진을 통해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